티스토리 뷰
유두 끝부분이 막혀서 모유가 나오지 못할 때-유관구 막힘
이런 경험 있으신가요? 저는 모유수유할 때 유두 끝부분인 유관구를 뭔가가 막고 있어서 모유가 자유롭게 흐르지 못해서 모유수유에 어려움이 있었어요. 오늘은 이런 유관구 막힘에 대해 알아볼게요.
유관구 막힘이란?
유관구란 유두에서 모유가 흘러나오는 최종 출구를 말해요. 그런데 젖이 잘 흐르지 않는 경우 고인 젖이 덩어리 져서 이 유관구가 막히기도 합니다. 이곳이 막히면 당연히 만들어진 모유가 흘러나오지 못해서 아기에게 젖을 먹일 수 없게 됩니다. 유선엽에서 아무리 열심히 모유를 만들어 놓았다 해도 이곳이 막히면 결국 모유는 아기입에 들어가지 못하고 엄마는 통증이 옵니다. 이것을 유구염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유관구가 막히면 유두 끝에 하얀 것이 보이기도 합니다. 이것은 염증이나 농과는 다른 것입니다. 저의 경우에도 유구염을 겪었었는데요 처음에는 젖이 왜 잘 안 나오는지 알 수가 없었지요. 분명히 유방의 이곳저곳에는 젖이 꽉 차 있었는데 왜 나오지 않는 것인지 말이에요. 정확히 말하면 유구의 모든 곳이 다 막힌 것이 아니라 일부가 막혔던 것을 나중에야 알았어요. 어느 날 유두를 자세히 살펴보고 유구에 뭔가 하얀 알갱이 같은 것이 막고 있다는 것을 알았어요. 이게 뭐지 하면서 짜내어 봤더니 아주 작은 모래알갱이 만한 하얀 구슬 같은 것이 톡 튀어나오면서 막혀있던 젖이 나오는 것이었어요. 바로 요 녀석 때문이란 걸 알고 너무 기뻤더랬어요. 그 뒤로도 계속 그랬던 것 같은데 이제 원인을 알았으니 스트레스받을 일은 없어졌지요. 계속 젖을 주다 보니 알갱이 같은 것이 처음에는 딱딱하다고 할 정도로 단단했었던 것 같은데 나중엔 그 정도는 아니더라고요.
유구염과 유선염 차이
유관구가 막히는 증상인 유구염은 유선염과는 분명히 다릅니다. 유선염은 염증이 있기 때문에 열이 있으며 유구염보다 더 아프고, 치료 시에도 항생제를 사용합니다. 그러나 유구염도 계속 방치하면 유선염이 생길 위험성도 있고 모유량이 적어질 위험도 있습니다. 모유량은 아기가 모유를 어마나 먹는지와도 관계가 있기 때문이에요.
유관구가 막히는 원인
수유텀이 너무 길 때 유관구가 막힐 수 있어요. 또 수유할 때 자세도 여러 가지로 바꿔가면서 수유해 보세요. 유방 속에는 젖이 만들어지는 여래개의 유선엽 조직이 있는데 모든 곳의 젖이 골고루 배출되도록 자세를 다양하게 바꿔 보시라는 겁니다. 그리고 젖 먹일 때 아기코가 유방에 눌려 숨을 못 쉴까 봐 걱정되어 손가락으로 유방을 눌러 주기도 하는데 이것이 원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또는 아기띠나 크로스백등에 유방이 오래 눌려있지는 않았는지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또는 엎드려 누워 자는 것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아니면 막히는 유구와 연결된 유관이 원래 가늘게 생긴 것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브래지어는 너무 조이지 않는 것을 사용해 주시고요.
해결책
유관구가 자주 막힐 때는 젖을 자주 먹이는 것이 최고랍니다. 수유텀이 길어지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열심히 젖을 먹이는 것입니다. 수유 전에 유관구 막힌 쪽의 유두를 따뜻한 물에 담가서 부드럽게 불렸다가 수유를 해 보세요. 또는 유방 전체를 수유 전에 온찜질을 해 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아기가 제일 배고파할 아침의 첫 수유를 그쪽 유방으로 하는 것입니다. 수유 중에 유방을 부드럽게 눌러주어 젖의 흐름을 도와주는 것도 한 방법이고요. 젖이 잘 나오지 않으면 손이나 유축기를 사용하여 젖을 짜주는 것도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유구염 때문에 비싼 유방마사지를 받을 필요는 없고요. 이와 같은 방법으로도 해결되지 않는다면 유구염이 아닐 수도 있으므로 이때는 전문가의 도움을 청해 보시기 바랍니다. 저의 경우도 유구염이 한때 있었지만 원인을 알고 나니 금방 해결이 되더라고요.
마무리
그럼 아기와 산모 모두 행복하고 편안한 모유수유 시간을 즐기시길 바라며 이만 마칠게요^^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